2010-06-05

일반인에게 공개된 구글 웨이브 구글 앱스와 연동하기

일반인에게 공개된 구글 웨이브 구글 앱스와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작년 가을 구글이 떠들석 하던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구글 웨이브입니다. 구글 웨이브는 구글이 언론에 소개하기를 "인터넷의 판을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라고 소개했던 부분입니다.

처음 Preview 버전이 공개되고 일부 이용자들에게 초대장이 배포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호기심에 초대장을 받아 사용해보면서 구글의 혁신적인 서비스에 대해서 감탄하신 분도 있고, 너무 앞서나간 서비스가 아니냐 하는 지적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저 또한 구글 웨이브의 초대장을 받아 사용해보았는데, 첫느낌은 이게뭐지? 하는 시큰둥한 반응이였던 기억이납니다. 저는 구글 웨이브가 추구하는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극대화 되려면 이용자가 증가해야 하고 속도가 좀 더 빨라져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그 후로 잠시 구글 웨이브를 잊고 있었는데, 얼마전 5월 말쯤 구글 웨이브가 Labs 버전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어 일반인에게 공개가 되었습니다.  몇가지 개선된 점이 있습니다. 속도 또한  빨라졌고, 가젯 메뉴도 추가되어 제법 쓸만해졌습니다.

 구글 웨이브는 더이상 초대장이 필요없이 누구나 웨이브 계정을 오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구글 계정이 있으신 분들은 구글 웨이브에 접속하셔서 계정을 활성화 시키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구글 웨이브는 구글 앱스 에도 추가가 가능해졌습니다. 협업도구로써 구글 웨이브가 앱스에 포함된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구글 웨이브와 구글 앱스 연동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구글 웨이브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기존의 구글 계정으로 접속하시면  웨이브 계정을 오픈 할 수있습니다. 구글 앱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별도의 서비스 추가설정을 해야합니다.

2. 구글 웨이브의 사용방법은 기타 블로그나 인터넷에서 충분이 숙지가 가능하고, 별다른 사용법을 몰라도 바로 구글 웨이브에 접속해서 웨이브 검색창에서 with:public 로 실시간 웨이브를 찾아서 사용해보면 감이 오실거라 생각합니다. 

3. 구글 웨이브는 사용하기에 따라 단순한 블로그나 SNS 또는 협업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환경 특히 협업 환경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느껴집니다. 현재 구글 웨이브는 대중들의 관심에서 멀어졌지만, 잠재된 사용가치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구글 문서도구와 구글 사이트도구를 함께 활용하면 구글 웨이브의 활용성이 극대화 될거라 생각합니다.

자, 그럼 구글 앱스에서 구글 웨이브서비스를 추가 하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구글 앱스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들어가면 제어판이 나타나는데 상단에서 도메인 설정을 클릭하고 하단에 보면 제어판 부분에서 다음 세대(영어로만 제공) 부분을 체크합니다. 
이 부분을 체크하고 변경사항을 저장 하게 되면, 제어판이 영문으로 바뀌지만 긴장하실 필요없습니다. 다시 제어판 초기 화면으로 돌아와서 서비스 추가부분을 클릭하시면 구글웨이브의 서비스 추가메뉴가 생깁니다. 반드시 제어판을 다음 세대로 변경해야 구글웨이브의 서비스 추가가 가능합니다. 

서비스를 추가한 뒤 다시 제어판에서 최신버전으로 체크표시를 하면 다시 원래대로 한글로 제어판이 바뀝니다. 간단하죠?


 이제 웨이브를 사용하는 일만 남았군요.  웨이브의 개별링크를 통해 홈페이지나 블로그에서 웨이브 코드를 삽입하면 간단하게 웹으로도 게시 할 수 있습니다. 

단 구글 앱스와 연동된 웨이브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외부 도메인의 접근을 차단 할 수 있으니, 외부 이용자의 접근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메인 내부 이용자들은 외부에 공개된 웨이브를 읽거나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웨이브를 다른사람에게 알려주거나 공유하려면, 우측 상단의 확장 메뉴를 클릭해서 Link to wave 를 클릭하면 임베드용 코드와 링크 그리고 웨이브 ID 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블로그나 홈페이지 또는 공유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주면 되겠죠? 마찬가지로 공개 웨이브가 아니라면 해당 웨이브에 원하는 이용자가 추가 되어야 웨이브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공개 웨이브를 만드는 법은 웨이브를 작성 한 후에  이용자를 추가하여야하는 데 public@a.gwave.com  라는 주소를 추가하게되면 해당 웨이브가 공개웨이브가 됩니다. 별도로 권한을 설정 할 수 있는데, 이용자를 클릭하면 Full access 와 read only 옵션을 따로 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글 웨이브를 보기위해서는 IE8에서는 구글프레임을 설치하거나 구글 크롬을 사용해야 합니다. 협업도구로써 잊혀졌던 구글 웨이브를 다시 사용해보는것은 어떨까요? 이용자가 늘어날수록 구글웨이브의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질거라 생각합니다. 이만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