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14

나만의 인터넷 서재 구글 도서를 활용하는 법

나만의 인터넷 서재 구글 도서를 활용하는 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오늘은 구글 도서를 활용하여 나만의 도서목록을 만들고 관리하는 법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우리는 많은 책을 읽지만. 시간이 지나고나면 무슨내용인지 그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기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는 소중한 시간을 투자해 읽은 책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국내 대형포털의 도서정보 서비스는 느낌에 인터넷 서점과 다를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장바구니의 개념처럼 책을  구매하기 위한 쇼핑정보에 더 가깝습니다.

책에 대한 리뷰나 서평은 비교적 잘되어있지만,(국내 포털이 활성화 되어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자신이 읽었던 책이나 목록등을 잘 정리해두고, 자신만의 메모나 서평을 기록해두기엔 부족합니다.

비공개로 자신만의 도서 정보를 기록해두고 싶은데 마땅한 곳이없죠. 블로그에 글을 적어도 다른 글과 파뭍혀 정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글 도서는 이런 분들에게 추천할 만한 서비스입니다.

구글 도서는 검색의 최강자 구글과 전세계 도서DB가 만난 서비스입니다.

구글 도서에서 중요한 기능은  내 서재 기능입니다. 각자의 구글 계정에서 자신의 도서목록을 정리 할수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http://www.google.com/intl/ko/ 로 접속하거나 개별도메인 http://books.google.com 으로 접속하시면 됩니다.

google.co.kr에서는 현재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니 이기능을 사용하려면 위 주소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초기화면도 국내화면보다는 깔끔해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접속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접속후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내 서재 를 클릭하면 됩니다.

클릭 한 후 먼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책을 찾기 위해서 책을 검색해야겠죠? 책의 뒷면에 위치한 ISBN 코드를 입력해서 찾으면 정확하고 신속하게 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책을 찾았으면 해당 책을 자신의 서재의 읽은목록 등에 저장해두고 메모나 서평을 남기면 됩니다. 서평은 공개 할 수도 있지만, 비공개 할 수 있고, 별도로 메모도 서평과 함께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서재목록을 여러개 만들어서 관리 할 수도 있으니 편리하겠죠?

추가로 덧붙이자면 구글 도서 검색서비스는 국내 포털 사이트 도서서비스 처럼 본문검색과 전체도서 보기가 지원됩니다. 많은 영문서적들 중에 전체보기가 허용된 서적이 많으므로, 원서 등을 보시는 분들에겐 좋은 서비스가 될거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