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페이지를 구글 문서도구로 만들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구글 문서도구 또한 HTML으로 보여지는 웹페이지에 불과하니까요.
실험해볼까요.
지금 화면을 캡처 하여 문서 안에 넣었습니다.
이 문서를 외부에 공유하려면 우측 상단 공유 메뉴를 클릭하여 웹페이지로 게시를 누르면 문서를 블로그에 게시하거나, 구글 문서 자체를 웹에 게시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합니다.
웹게시는 바로 문서도구에서 편집되면 바로 적용되도록 바꿀 수 있습니다.
중간에 링크주소가 생성된 것을 클릭하면,
이런 식으로 문서가 웹에 게시가 됩니다. 근데 뭔가 거슬리죠? 하단에 구글의 문서편집 메뉴와 함께 불건전 게시물신고 라는 하단메뉴가
눈에 거슬린다면 링크 뒤에 &hgd=1을 붙여주면 보이지 않습니다.
스크롤 바 하단까지 내려와도 구글 메세지는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이걸 잘 활용하면, 구글 문서도구 자체가 블로깅을 할 수 있는 웹 편집도구 처럼 느껴질겁니다. 이걸 iframe 태그를 통해 또는 igoogle을 통해 게시하거나 공유한다면, 활용범위는 제법 넓어집니다. 문서를 웹페이지로 다루면서 실시간 편집의 자유성과 동시에 협업이 가능하니까요.
마치 WYSWYG 도구처럼 웹페이지에 자기가 현재 만들고 있는 문서를 손쉽게 인터넷에 게시하게 되므로, 웹페이지를 편리하게 제작하는데도 이용 가능합니다. 왜냐면 현재 이 문서편집 자체가 웹페이지를 편집하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구글 문서도구를 활용하려면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저는 구글 크롬 플러스를 추천합니다.) 마치 오프라인에서의 작업처럼 빠르고 원할한 엑세스를 도와줍니다.
구글 문서도구는 활용가능성이 매우 넓습니다. 단순한 오피스 S/W에서 벗어나 인터넷 웹편집 도구 및 공유,협업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한번 사용해보세요. 문서를 게시하고 공유링크를 생성하고 링크 뒤에 &hgd=1 옵션을 주면 더욱 깔끔한 페이지 링크가 완성됩니다.
현재 문서는 구글 문서도구로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그 편집 메뉴를 통해 편집되는 것이 아닌 구글 문서도구를 통해 편집되면 실시간으로 웹에 자동 게시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