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년을 구하는 방법. 윤년 알고리즘.
1년은 365일이라고 보통 알려져 있지만, 사실 365.25일 정도로 계산하는게 정확하다.
그래서 약 4년마다 366일이 되어 우리는 그것을 윤년이라 부르고,
2월은 보통 28일까지 있지만 29일까지 1일을 추가하여 쓴다.
보통 4년에 한번씩 윤년이 온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세기가 바뀔 때 (현재 2015년 기준으로 2100년을 못볼 가능성이 크지만!! 당신도 그렇겠지만..)
100년 단위로 나누어지면 평년으로 계산한다.
즉 1900년은 평년이다. 2월이 28일까지밖에 없는 평년 365일이다.
그러나 1904년은 윤년이다.
자 그러면
2000년도는 어떨까? 2000년도도 100으로 나누어지니 평년으로 계산해야 할까?
아니다.
400으로 나누어지면 평년이 아니라 윤년으로 본다.
이것이 윤년 공식의 끝이다.
그래서 1600년도는 윤년이다.
2400년도 윤년이다.
그러나 보통은 4로 나누어지면 윤년이라고 보면 된다. 프래그래밍을 할 때는 알고리즘에
4로 나누어지면 TRUE
그러나 100 으로 나누어지면 FALSE
하지만, 다시 그 값이 400으로 나누어지면 TRUE가 되어 윤년 알고리즘을 만들면 될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쓸모 있는 지식. 간혹 몇 년도가 366일 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긴다면..
이자 계산 시 유용하다.